<2024년 4차(11~12월) 보수교육 신청안내>
안녕하세요.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교육팀입니다.
우리 협회는 아래와 같이 2024년 4차(11~12월) 보수교육을 개설하였습니다.
교육 커리큘럼 및 주요 안내 내용을 확인하시어 수강 신청 바랍니다.
보수교육센터(https://www.welfare.net/edu/)를 통해서 신청 가능합니다.
▶ 오전 9~11시에는 접속인원 증가로 홈페이지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 양해 바랍니다.
■ 보수교육 안내 다운로드
○ 보수교육 안내 다운로드
1. 시행문 다운로드 : (공문) 2024년 4차(11월_12월)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신청 안내.pdf
2. 보수교육 커리큘럼 다운로드 : 2024년 4차(11_12월)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커리큘럼.pdf
3. 보수교육 신청방법 메뉴얼 : 2024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센터 매뉴얼_개인용.pdf
4.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의무 및 보장안내 : https://bit.ly/4crGdCE
5. 보수교육 이수증 출력 방법 : https://bit.ly/3XOc7VA
6. 보수교육 의무대상자 확인하기 : https://bit.ly/4bwVMHQ
○ 온라인 실시간 보수교육 수강방법
(클릭)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 [영상] 온라인(실시간) 보수교육 수강방법 안내 (PC사용자) (sasw.or.kr)
▶ 오전 9~11시에는 접속인원 증가로 홈페이지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 양해 바랍니다.
■ 보수교육 신청안내
○ 보수교육 신청안내
1. 보수교육 오픈 : 2024. 10. 11.(금) 오전 9시
* 연계 과정은 2024. 10. 18.(금) 오전 9시에 오픈 예정 (해당교육 : 집합117차, 121차)
2.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센터 바로 가기 : https://www.welfare.net/edu/
○ 교육대상 : 서울시 사회복지사
(서울시 사회복지 법인, 시설, 단체 등에서 근무하거나, 보수교육을 희망하는 사회복지사)
○ 교육비 : 56,000원 /특화(2일) : 150,000원 /특화(3일) : 200,000원
* 서울시 보조금 지원 대상자 28,000원 지원
○ 교육 방법
- 집합(대면)교육 : 협회 교육장 및 연계지역 교육장 활용, 대면 오프라인 교육
- 실시간 온라인교육 : 온라인 플랫폼(Microsoft Teams) 활용, 실시간 강사 교육
- 녹화형 온라인교육 : 온라인 홈페이지(https://www.welfare.net/edu/) 활용, 녹화형 교육
○ 보수교육 신청방법
① 보수교육센터(https://www.welfare.net/edu/) → ② 개인ID 로그인 → ③ 상단 보수교육/일반교육 메뉴 → ④ 실시기관명 '서울특별시사회복지사협회' 설정 후 검색→ ⑤ 수강신청 및 결제 → ⑥ 교육참석
* 집합(대면) 교육 : 교육 신청시 명기된 장소에서 교육 수강
* 실시간 온라인교육 : 교육 전일 안내받은 수강링크(MS TEAMS) 확인 접속
* 녹화형 온라인교육 : 강의 당일 00:00~23:59 내 수강
○ 장기요양기관 사회복지사 유의사항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센터 (welfare.net))
「장기요양급여 제공기준 및 급여비용 산정방법 등에 관한 세부사항」 제12조제1항제3호 근무인원수 산정방법에 따라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경우 녹화형 사이버 교육 이수 시 근무시간으로 인정되지 않는 점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라며, 집합 교육 및 실시간 온라인교육 수강을 권고 드립니다.
■ 2024년 4차(11~12월)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계획
□ 개요
교육기간 | 2024. 11. 1. (금) ~ 12. 13.(금) | 장소 | ‧ 서울협회 교육장 ‧ 실시간 온라인 (MS Teams) |
||
교육 횟수 (총 42회) |
집합(대면)교육 22회 | 교육인원 | 정원 1,760명 | 평점 | 8평점 (1시간당 1평점) |
집합(대면) 특화 교육(2일) 1회 | 정원 60명 | ||||
실시간 온라인 11회 | 정원 880명 | ||||
녹화형 8회 | 정원 1,000명 | ||||
교육시간 및 수강료 |
‧ 서울지역 사회복지 법인 시설 ‧ 서울시 보조금 지원기관 ‧ 2024년 연회비납부 회원 |
일반과정 | 28,000원 | 결제방법 | ‧ 신용카드, 실시간 계좌이체, 가상계좌 ‧ 10명 이상 단체결제 시 무통장 입금 가능 |
특화과정(2일) | 122,000원 | ||||
소속기관이 없으나 교육 수강을 원하는 경우 | 일반과정 | 56,000원 | 입금기한 | ‧ 교육 신청 후 7일 내 입금 (미입금 시 자동취소) |
|
특화과정(2일) | 150,000원 | ||||
신청방법 | 보수교육센터(https://www.welfare.net/edu/)에 개인ID/PW 로그인-보수교육신청 | ||||
문 의 | 정승아 과장, 이해창 대리, 정소희·신단비·정지연 사회복지사 (02-786-2965) |
□ 신입사회복지사과정(경력 3년 이하) / 집합 1회 (신규=신규주제, 신규=신규주제+신규강사)
과목명 | 일시 | 시간 | 영역 | 주제 | 강사 | 신규교육 | 장소 | 정원 |
[서울집합134차]신입11-신입을 위한 비즈니스 매너, 행정, 인권 | 12월 11일(수) | 9-12 | 특별 | 신입 실무자의 비즈니스 매너 ‘자신의 이미지를 디자인하라’ | 고연경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행정 | 총무과장이 신입직원에게 알려주는 행정 꿀팁 | 한수지 | |||||
16-18 | 인권,윤리 | 뉴스로 만나는 인권이야기 | 송경준 |
□ 선임사회복지사과정(경력 3년이상~7년미만) / 집합 3회 (신규=신규주제, 신규=신규주제+신규강사)
과목명 | 일시 | 시간 | 영역 | 주제 | 강사 | 신규교육 | 장소 | 정원 |
[서울집합123차]선임12-선임을 위한 글쓰기, 커뮤니케이션, 실천윤리 | 11월 21일(목) | 9-12 | 실천 | 사회복지사의 실천중심 글쓰기 | 전안나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특별 | 사회복지사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 김희동 | |||||
16-18 | 인권,윤리 | 존엄과 실천윤리 | 정성원 | |||||
[서울집합130차]선임13-선임을 위한 슈퍼비전, 인권, 퍼실리테이션 | 12월 3일(화) | 9-12 | 행정 | 슈퍼히어로 조직을 만드는 슈퍼비전 | 함형호 | 협회 교육장 | 80 | |
13-15 | 인권,윤리 | 사회복지실천현장 인권 민감성 | 양병주 | |||||
15-18 | 특별 | 협업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 김선영 | |||||
[서울집합133차]선임14-선임을 위한 글쓰기, 초급리더십, 윤리실천 | 12월 10일(화) | 9-12 | 행정 | 사회복지사의 실천중심 글쓰기 | 전안나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특별 | 선임을 위한 초급 리더십 | 양원석 | |||||
16-18 | 인권,윤리 |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기반 실천 | 이지연 |
□ 중간관리자과정(중간관리자 또는 경력 7년 이상) / 집합 2회, 실시간 1회 (신규=신규주제, 신규=신규주제+신규강사)
과목명 | 일시 | 시간 | 영역 | 주제 | 강사 | 신규교육 | 장소 | 정원 |
[서울집합118차]중간11-사회복지 지도감독, 인권, 직무역량강화 | 11월 12일(화) | 9-12 | 행정 | 비영리법인 이해와 사회복지 지도·감독 | 구연창 | 협회 교육장 | 80 | |
13-15 | 인권, 윤리 | 사회복지시설 인권경영과 포용적 감정노동 관리 | 권오훈 | |||||
15-18 | 특별 | 프로 일잘러가 되는 방법 | 최지훈 | |||||
[서울실시간42차]중간12-중간관리자를 위한 인사와 노무, 인권, 슈퍼비전 | 11월 15일(금) | 9-12 | 특별 | 2024년에 알아야 할 인사와 노무 | 김정순 | MS Teams | 80 | |
13-15 | 인권,윤리 | 사례중심 인권경영매뉴얼 학습하기 | 이전 | |||||
15-18 | 행정 | 슈퍼비전의 기능과 과업 | 최원희 | |||||
[서울집합132차]중간13-중간관리자를 위한 조직 역동, 실천윤리, 회계 수퍼비전 | 12월 9일(월) | 9-12 | 특별 | 조직의 긍정적 역동을 위한 관계 관리 | 김미경 | 협회 교육장 | 80 | |
13-15 | 인권,윤리 | 일의 철학, 인권과 가치 기반 실천윤리 | 윤귀선 | |||||
15-18 | 행정 |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회계업무 슈퍼비전 | 이방미 |
□ CEO과정(시설장 또는 경력 15년 이상의 사회복지사) / 집합 2회 (신규=신규주제, 신규=신규주제+신규강사)
과목명 | 일시 | 시간 | 영역 | 주제 | 강사 | 신규교육 | 장소 | 정원 |
[서울집합124차]CEO9-복지정책, AI경영, 인권 | 11월 22일(금) | 9-12 | 정책 | 복지정책과 행정은 왜 실패하는가? 복지국가를 위한 근본적 과제 | 김보영 | 신규 | 협회 교육장 | 80 |
13-16 | 특별 | 일의 미래와 AI경영 | 안병민 | |||||
16-18 | 인권,윤리 | 인권의 최전선에 있는 우리들 | 조윤산 | |||||
[서울집합126차]CEO10-인간의 존엄, 사회서비스, 민관협력 | 11월 27일(수) | 9-12 | 인권,윤리 | 인간의 존엄과 인문학 | 김형완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정책 | 사회서비스 고도화, 정책과 사회서비스원의 역할 | 조상미 | |||||
16-18 | 특별 | 지방자치시대 사회복지 리더의 정치 역량과 민관협력 방법 | 김은영 | 신규 |
□ 연계과정(자치구, 직능협회, 사회복지법인 연계교육) / 집합 2회 (신규=신규주제, 신규=신규주제+신규강사)
과목명 | 일시 | 시간 | 영역 | 주제 | 강사 | 신규교육 | 장소 | 정원 |
[서울집합117차]연계23-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 11월 11일(월) | 9-12 | 실천 | 노인복지 현장에서 고민하는 노인학대 개입 및 실천전략 | 고진선 | 신규 | 협회 교육장 | 80 |
13-16 | 특별 | 노인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의 법적 쟁점과 이해 | 장덕규 | 신규 | ||||
16-18 | 인권,윤리 | 장기요양시설에서의 인권 | 한철수 | 신규 | ||||
[서울집합121차]연계24-가족 자조모임 운영과 네트워크의 실제 | 11월 15일(금) | 9-12 | 실천 | 가족 자조모임 운영방안 및 자조모임 네트워크 | 양혜원 | 신규 | 협회 교육장 | 80 |
13-16 | 실천 | 다양한 가족모임 및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 홍수연 | |||||
16-18 | 인권,윤리 | 사회복지 가치구현 가족복지 실천 | 이지연 | 신규 |
□ 통합과정-종합(분야 및 경력무관, 교육내용에 관심이 있는 자) / 실시간 2회 (신규=신규주제, 신규=신규주제+신규강사)
과목명 | 일시 | 시간 | 영역 | 주제 | 강사 | 신규교육 | 장소 | 정원 |
[서울실시간47차]통합13-스마트업무, 홍보와 인권, 공공복지서비스 | 12월 2일(월) | 9-12 | 특별 | 구글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업무환경 구성 | 이중용 | MS Teams | 80 | |
13-15 | 인권,윤리 | 사회복지 홍보와 인권 | 이승미 | |||||
15-18 | 정책 | 사례관리 실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알기 쉬운 공공복지 서비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중심으로) | 김수남 | |||||
[서울실시간48차]통합13-사회복지기획, 마을만들기, 실천윤리 | 12월 6일(금) | 9-12 | 특별 | 사회복지사의 기획 및 실천 | 김대근 | MS Teams | 80 | |
13-16 | 실천 | 마을만들기와 도시재생에서의 복지실천전략 | 홍재봉 | |||||
16-18 | 인권,윤리 | 존엄과 실천윤리 | 정성원 |
□ 테마과정(1일 특화주제/경력 및 분야 무관) / 집합 12회, 실시간 8회 (신규=신규주제, 신규=신규주제+신규강사)
과목명 | 일시 | 시간 | 영역 | 주제 | 강사 | 신규교육 | 장소 | 정원 |
[서울실시간39차]테마67-사회복지 연말시즌 모금전략 | 11월 5일(화) | 9-12 | 인권,윤리 | 모금과 자선의 윤리·인권적 접근 Ⅶ | 정현경 | MS Teams | 80 | |
13-15 | 특별 | 시즌에 따른 모금전략 (Feat. 연말모금과 AI) | 최계명 | 신규 | ||||
15-18 | 실천 | 기부자 관계예우- 연말시즌 중심의 실천 | 김국보 | 신규 | ||||
[서울집합114차]테마68-주민조직화와 사회복지 실천 | 11월 6일(수) | 9-12 | 특별 | 사회적 고립과 주민조직화 | 오영식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실천 | 주민의 마음을 움직이는 퍼실리테이션으로 지역문제 해결하기 | 김준성 | |||||
16-18 | 인권,윤리 |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기반 실천 | 이지연 | |||||
[서울집합115차]테마69-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11월 7일(목) | 9-12 | 조사 | 욕구조사 및 성과평가를 위한 엑셀 통계 | 박종두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행정 | 로직모델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이봉주 | |||||
16-18 | 인권,윤리 |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기반 실천 | 이지연 | |||||
[서울집합116차]테마70-사회복지와 청년 | 11월 8일(금) | 9-12 | 특별 |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과 서비스 | 조소연 | 신규 | 협회 교육장 | 80 |
13-16 | 실천 | 자립준비청년의 현황과 지원 방향 | 강미경 | 신규 | ||||
16-18 | 인권,윤리 | 인권을 기반으로, 인권의 관점으로, 비로소 인권이 실현되는 사회복지시설운영의 실제 | 박경호 | |||||
[서울실시간40차]테마71-노인복지 정책과 치매돌봄 | 11월 8일(금) | 9-12 | 특별 | 스마트 치매돌봄의 최신동향 | 황재영 | MS Teams | 80 | |
13-16 | 정책 | 노인복지정책과 돌봄 | 이미진 | |||||
16-18 | 인권,윤리 | 인권과 사회복지-노인인권지킴이 | 김대심 | |||||
[서울실시간41차]테마72-발달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 11월 12일(화) | 9-12 | 인권,윤리 | 장애인 인권과 후견제도 활용방안 | 윤선희 | MS Teams | 80 | |
13-16 | 정책 | 발달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정책 | 김정하 | |||||
16-18 | 특별 | 보조기기에 대한 이해 | 이윤섭 | |||||
[서울집합119차]테마73-지역사회 정신건강 역량강화 | 11월 13일(수) | 9-12 | 인권,윤리 | 정신장애 인권과 권익 옹호 | 강상경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실천 | 정신질환 사례의 개입과 소통 | 강민정 | |||||
16-18 | 실천 | 정신건강의 어려움이 있는 주민과의 마을 살이 실천 사례 | 이효정 | |||||
[서울집합120차]테마74-환경과 사회복지(그린열매프로젝트) | 11월 14일(목) | 9-12 | 인권, 윤리 | 사회복지사와 함께 떠나는 지구별 기후정의실현을 위한 인권여행 | 오선영 | 협회 교육장 | 80 | |
13-15 | 실천 |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위기상황에서의 사회복지 역할과 대응방법 모색 | 공선호 | |||||
15-18 | 특별 | 기후위기와 불평등 사회복지사의 책무 | 김혜미 | |||||
[서울실시간43차]테마75-사회적 고립, 상담, 인권 | 11월 19일(화) | 9-12 | 실천 | 사회적 고립과 지원방안 | 백명희 | MS Teams | 80 | |
13-16 | 특별 |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상담 기초 기술 | 지경주 | |||||
16-18 | 인권,윤리 | 상담의 시작은 인권 (관계가 어려운 인권관점에서) | 이은진 | |||||
[서울실시간44차]테마76-위기예방 및 대응, 마음회복, 인권 | 11월 22일(금) | 9-12 | 인권,윤리 | 인권/윤리 실천 살아 숨쉬게 하기 | 김일용 | MS Teams | 80 | |
13-15 | 실천 | 사회복지사의 위기 예방 및 대응체계 | 배영미 | |||||
15-18 | 특별 | 마음을 회복하는 스트레스와 갈등 관리 | 명혜원 | |||||
[서울집합125차]테마77-강점관점으로 사례관리 기록하기 | 11월 25일(월) | 9-12 | 인권,윤리 | 강점관점으로 기록하기_사례관리를 중심으로; 기록과 윤리 | 김선정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특별 | 강점관점으로 기록하기_사례관리를 중심으로 ; 무엇을 기록할 것인가? |
김수영 | |||||
16-18 | 실천 | 강점관점으로 기록하기_사례관리를 중심으로: 사례관리 기록의 실제 | 전세희 | |||||
[서울실시간45차]테마78-AI시대의 사회복지 실천 | 11월 25일(월) | 9-12 | 행정 | 스마트워크(Microsoft365)를 활용한 사회복지 실천의 변화 | 황흥기 | MS Teams | 80 | |
13-15 | 인권,윤리 | AI 시대, 디지털윤리와 사회사업가의 고민은? | 염건이 | |||||
15-18 | 특별 | 데이터를 쌓아야 GPT로 분석하지! | 김종원 | |||||
[서울실시간46차]테마79-지역사회 정신건강 역량강화 | 11월 26일(화) | 9-12 | 인권, 윤리 | 장애인 인권과 정신장애인 회복 지원 | 박재우 | MS Teams | 80 | |
13-16 | 특별 | 중독사례관리의 사정도구 활용 | 김용진 | |||||
16-18 | 실천 | 정신장애인 사례관리 | 백형의 | |||||
[서울집합127차]테마80-지역사회 정신건강 역량강화 | 11월 28일(목) | 9-12 | 인권,윤리 | 왜 정신건강과 인권이야기에 위축될까? | 문용훈 | 신규 | 협회 교육장 | 80 |
13-16 | 정책 | 복지기관 기반형 정신건강 사업방향 (전달체계중심) | 안성희 | |||||
16-18 | 특별 |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돕는 10가지 원리 | 이관형 | |||||
[서울집합128차]테마81-사회복지사를 위한 사례관리와 상담 | 11월 29일(금) | 9-12 | 특별 | 마음을 여는 대화법(칼 로저스 상담 기초 기술) | 이재원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실천 | 사례관리 과정의 이해 및 핵심과업 | 유명이 | |||||
16-18 | 인권,윤리 | 사회사업 과정 속 윤리와 인권 들여다보기 | 이혜주 | |||||
[서울집합129차]테마82-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계획서 작성, 인권 | 12월 2일(월) | 9-12 | 행정 | know problem: 문제를 알면서부터 새롭게 보이는 사회복지프로그램 기획하기 | 장다인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특별 | PIE관점에 따른 사회복지 프로그램계획서 작성 및 성과관리 | 고이경 | |||||
16-18 | 인권,윤리 | 인권과 사회복지 함께하자 | 김대심 | |||||
[서울집합131차]테마83-사회복지 홍보와 기획 | 12월 6일(금) | 9-12 | 특별 |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회복지 홍보실무(챗GPT 기초과정) | 김근태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행정 |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 계획 (기획, 계획 그리고 숨어있는 질서에 관한 이야기) |
이두진 | 신규 | ||||
16-18 | 인권,윤리 | 사회복지홍보와 인권 | 이승미 | |||||
[서울실시간49차]테마84-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다양성 이해하기 | 12월 9일(월) | 9-12 | 실천 | 사회복지사를 위한 다양성 훈련 | 김아래미 | MS Teams | 80 | |
13-16 | 실천 | 이주민밀집지역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도시형 마을공동체 실천사례 | 김영화 | 신규 | ||||
16-18 | 인권,윤리 | 인권의 기본개념 이해와 신뢰에 대해 사고하기 | 남성주 | |||||
[서울집합135차]테마85-지역사회 정신건강 역량강화 | 12월 12일(목) | 9-12 | 인권,윤리 | 정신장애 인권과 권익 옹호 | 강상경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실천 | 정신질환 사례의 개입과 소통 | 강민정 | |||||
16-18 | 특별 |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돕는 10가지 원리 | 이관형 | |||||
[서울집합136차]테마86-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다양성 이해하기 | 12월 13일(금) | 9-12 | 정책 | 다문화 정책과 사회복지 | 이민영 | 협회 교육장 | 80 | |
13-16 | 실천 | 사회복지와 문화 다양성 | 김현진 | 신규 | ||||
16-18 | 인권,윤리 |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인권,윤리기반 실천 | 김선화 |
□ 특화과정(2일 과정) / 집합 1회 (신규=신규주제, 신규=신규주제+신규강사)
과목명 | 일시 | 시간 | 영역 | 주제 | 강사 | 신규교육 | 장소 | 정원 |
[서울집합122차]특화11-사례관리전문가 기초과정 | 11월 19일(화) | 9-12 | 실천 | 간접실천기술 | 박영숙 | 협회 교육장 | 60 | |
13-19 | 실천 | 사례관리 과정의 이해 및 핵심과업 | 백은령 | |||||
11월 20일(수) | 9-10 | 인권,윤리 | 사회복지 윤리와 인권 | 김성천 | ||||
10-12 | 실천 | 사례관리의 기초와 이해 | 김성천 | |||||
13-16 | 특별 | 직접실천기술 | 김수영 | |||||
16-18 | 실천 | 사례관리 운영체계의 이해와 구조 | 남성주 |
□ 녹화형 온라인 보수교육-(분야 및 경력무관, 교육내용에 관심이 있는 자) / 8회
과목명 | 일시 | 시간 | 영역 | 주제 | 강사 | 장소 | 정원 |
[서울녹화21차] 인권, 정책과 복지운동, 전문가케어, 노동법이해 | 11월 5일(화) | 0:00 ~ 23:59 |
인권 | 노숙인과 사회복지실천, 그리고 인권 | 남기철 | 보수 교육센터 |
125 |
인권 | 정신건강 영역의 인권 | 문용훈 | |||||
정책 | 사회복지정책과 복지운동 | 이명묵 | |||||
정책 |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정치/정책 참여 | 김장민 | |||||
특별 | 사회복지시설의 기본 노동법의 이해 | 이창승 | |||||
[서울녹화22차] 인권, ESG, 노동인권, 전문가 케어 | 11월 13일(수) | 0:00 ~ 23:59 |
인권 | 노인 인권의 이해 | 정희남 | 보수 교육센터 |
125 |
인권 | 인권관점에서 보는 장애인복지 | 유동철 | |||||
특별 | ESG 이해 및 사회복지 적용 | 곽대석 | |||||
행정 | 사회복지와 노동인권 | 하종강 | |||||
실천 | 사회복지사 전문가 케어 | 전명희 | |||||
[서울녹화23차] 인권, 사회적경제, 아동 | 11월 20일(수) | 0:00 ~ 23:59 |
특별 | 사회적금융의 개념과 현황 | 문진수 | 보수 교육센터 |
125 |
특별 | 사회복지 관점에서 사회적경제 | 하재찬 | |||||
정책 | 사회서비스와 임팩트 금융 | 조상미 | |||||
인권 | 아동권리의 이해 | 한명애 | |||||
실천 | 아동에게 안전한 기관 만들기 | 강슬기 | |||||
인권 | 인권은 모두의 것 모두와 인권을 알아보는 사람, '사회복지사' | 김신지 | |||||
[서울녹화24차] 인권, 사회복지 정책과 운동, 전문가케어, 채무조정 | 11월 26일(화) | 0:00 ~ 23:59 |
인권 | 노숙인과 사회복지실천, 그리고 인권 | 남기철 | 보수 교육센터 |
125 |
인권 | 다문화와 인권 | 신은주 | |||||
정책 | 사회복지정책과 복지운동 | 이명묵 | |||||
실천 | 사회복지사 전문가 케어 | 전명희 | |||||
특별 | 사회복지사가 알아야 할 금융복지 및 채무조정 사례 | 제윤경 | |||||
[서울녹화25차] 인권, ESG, 아동, 노동법 | 11월 28일(목) | 0:00 ~ 23:59 |
행정 | 사회복지와 노동인권 | 하종강 | 보수 교육센터 |
125 |
인권 | 노인 인권의 이해 | 정희남 | |||||
특별 | ESG 이해 및 사회복지 적용 | 곽대석 | |||||
실천 | 아동에게 안전한 기관 만들기 | 강슬기 | |||||
인권 | 인권관점에서 보는 장애인복지 | 유동철 | |||||
[서울녹화26차] 인권, 정책참여, 노동법, 지역사회돌봄 | 12월 3일(화) | 0:00 ~ 23:59 |
인권 | 다문화와 인권 | 신은주 | 보수 교육센터 |
125 |
인권 | 정신건강 영역의 인권 | 문용훈 | |||||
정책 |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정치/정책 참여 | 김장민 | |||||
특별 | 사회복지시설의 기본 노동법의 이해 | 이창승 | |||||
특별 | 지역사회돌봄의 개념과 전략 | 김용익 | |||||
[서울녹화27차] 인권, 정책과 복지운동, 전문가케어, 노동법이해 | 12월 10일(화) | 0:00 ~ 23:59 |
인권 | 노숙인과 사회복지실천, 그리고 인권 | 남기철 | 보수 교육센터 |
125 |
인권 | 정신건강 영역의 인권 | 문용훈 | |||||
정책 | 사회복지정책과 복지운동 | 이명묵 | |||||
정책 |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정치/정책 참여 | 김장민 | |||||
특별 | 사회복지시설의 기본 노동법의 이해 | 이창승 | |||||
[서울녹화28차] 인권, ESG, 지역사회돌봄, 전문가 케어 | 12월 12일(목) | 0:00 ~ 23:59 |
인권 | 노인 인권의 이해 | 정희남 | 보수 교육센터 |
125 |
인권 | 인권관점에서 보는 장애인복지 | 유동철 | |||||
특별 | ESG 이해 및 사회복지 적용 | 곽대석 | |||||
행정 | 사회복지와 노동인권 | 하종강 | |||||
실천 | 사회복지사 전문가 케어 | 전명희 |
■ 보수교육 세부 안내사항(필독!)
○ 보수교육 수강료
1) 일반과정
① 28,000원 - 서울시 소재 및 지원 기관 or 서울협회 회원(2024년 회비납부자)
② 56,000원 - 서울시 외 지역 소재 기관, 소속기관이 없으나 교육 수강을 원하는 경우
2) 특화과정(2일)
① 122,000원 - 서울시 소재 및 지원 기관 or 서울협회 회원(2024년 회비납부자)
② 150,000원 - 서울시 외 지역 소재 기관, 소속기관이 없으나 교육 수강을 원하는 경우
3) 특화과정(3일)
① 172,000원 - 서울시 소재 및 지원 기관 or 서울협회 회원(2024년 회비납부자)
② 200,000원 - 서울시 외 지역 소재 기관, 소속기관이 없으나 교육 수강을 원하는 경우
○ 교육비 입금 및 환불 안내
1) 결제방법: 카드결제, 가상계좌, 실시간 계좌이체
① 카드결제/실시간 계좌이체: 교육 신청 후 실시간 결제까지 완료되어야 함.
② 가상계좌: 교육 신청 후 신청자에게 부여된 고유계좌번호로 교육비 입금
- 교육신청일 포함 7일 이내(주말 및 공휴일포함) 미입금될 경우 수강신청 자동 취소됨
- 가상계좌는 [나의민원-교육관리-결제내역]에서 계좌번호를 확인 바라며, 입금시 입금자명은 별도로 기재하지 않아도 됨
③ 한 기관에서 10명이상 교육비 일괄입금 필요할 경우 별도 문의 (02-786-2965)
2) 입금확인 : 나의민원 - 교육관리 - 결제내역에서 확인
3) 환불신청 : 나의민원 - 교육관리 - 결제내역에서 ‘환불신청’
① 환불가능기간 : 교육 4일전(교육일, 주말, 공휴일 제외) 까지
② 환불불가기준 : 환불가능기간 이후, 교육 당일 불참, 이수기준에 못미치는 경우
○ 교육신청 기한 안내
① 교육신청은 교육 3일 전(주말 및 공휴일 포함)까지 가능
② 마감 이후에는 교육신청 불가
○ 보수교육 필수사항 안내
구분 |
집합(대면)교육 |
실시간 온라인교육 |
녹화 온라인교육 |
교육전 |
① 교육 2주일 전까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나의민원 내 소속기관, 핸드폰번호, E-mail정보 필수 확인 (등록된 정보와 다를 경우 교육 안내 및 수강이 어려울 수 있음) ② 교육에 대한 안내 사항은 이메일(2~3일전), 문자(1일전) 등으로 안내 (1일전까지 안내 받지 못한 경우 반드시 사무처로 확인 바람) ※ 교육대상자 미등록 (보수교육센터 나의민원에 소속기관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자)의 경우,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센터 접속(https://www.welfare.net/edu/) - "기관 아이디" 로그인 - 교육관리 - 교육대상자 관리 - "신규 등록" - 보수교육 대상자 등록 방법 자세히 보기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센터 (welfare.net) |
||
교육당일 |
① 교육 시작 10분전까지 교육장 입실 ② 접수시 신분증(사진촬영본 불가)지참하여 본인확인 후 출석 서명 ③ 교육 인정 불가한 상황 : 강의 시작 후 30분 이내 출석 미확인 및 대리출석, 장시간 자리 부재시 ④ 대중교통 이용 요망 : 주차장 협소 (1시간당 3천원 유료주차) ⑤ 1과목당 50분 수강, 10분 휴식 ⑥ 교재는 책자형태로 당일 배부 |
① 교육이 가능한 독립된 공간에서 교육 수강 ② 카메라 기능이 설치된 PC, 노트북, 핸드폰 필수 준비 ※ PC 수강 권장 - 핸드폰의 경우 발열·배터리·데이터 문제 등으로 원활한 교육 수강이 어려우며, 강사와 소통을 위한 채팅 기능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음 ③ PC 사용자는 Microsoft Edge 브라우저설치(https://www.microsoft.com/ko-kr/edge)/모바일 사용자는 ‘Microsoft Teams(팀즈)‘ 앱 반드시 설치 ④ 교육시작 20분 전까지 발송된 초대링크를 통하여 온라인 교육장 입장, 카메라 등 장비 사전 점검 필요 ⑤ 출석 확인 : 출석 QR + 카메라 통한 참석 확인 ⑥ 교육 인정 불가한 상황 : 강의 시작 후 30분 이내 출석 미확인 및 대리출석, 장시간 자리 부재시, 카메라가 장시간 꺼져 있는 경우 ⑦ 출석확인과 강사와의 소통 위해 강의 중 카메라 활성화 필요 (장시간 비활성화 시 교육 인정 불가) ⑧ 1과목당 45분 수강, 15분 휴식 ⑨ 교육 교재는 PDF파일로 교육 전 E-mail 발송 |
① 교육이 가능한 독립된 공간에서 교육 수강 ② PC수강 권장 - 모바일 수강 시, 전화, 문자 등으로 인해 교육 영상이 종료되어 진도율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으니 PC사용 권장 - 원활한 영상 재생을 위해 인터넷 브라우저는 Chrome(크롬) 또는 Microsoft Edge(엣지) 브라우저를 활용하여 수강(타브라우저 사용 시 진도율 적용 오류 발생할 수 있음) ③ 수강 기간 내(교육 당일) 각 신청 과목의 진도율 95% 이상일 경우 평점 인정 가능 -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은 배속 기능을 제공하지 않음. 별도의 배속 기능을 사용하여 평점인정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보수교육 인정 불가 ④ 교재 다운로드 방법 : 마이페이지 - 수강현황 - 입장하기 – 교재보기 |
※ 수강 중 타 수강생에게 불쾌감을 주는 행위, 태도 불량, 교육을 방해하는 행위(업무, 전화, 취식 등)로 담당자가 교육 진행을 위한 협조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불응하는 경우 보수교육 평점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음. |
|||
교육 종료 시 |
① 마지막 출석 서명 후 퇴실 |
① 보수교육센터 출석QR 응답 |
① 과목 이수 확인 : 보수교육센터 나의민원 - 보수교육이수내역 - 이수내역 확인 ② 만족도 설문 참여 : 보수교육센터 나의민원 - 보수교육이수내역 - 온라인만족도평가내역 참여 |
② 만족도 설문 : 개인 핸드폰 등으로 안내된 만족도 설문 참여 |
|||
③ 이수증 발급 : 8평점 교육 이수에 대한 증빙서류, 교육 종료 2주 후 발급 ▶ 나의민원 → 각종증명서발급관리 → 교육증명서발급내역 → 이수증 발급 ④ 수료증 : 각 교육 과목 수료에 대한 증빙서류, 교육 종료 2주 후 발급 ▶ 나의민원 → 각종증명서발급관리 → 교육증명서발급내역 → 수료증 발급 |
○ 기타
① 수강신청 인원이 정원의 20% 미만일 경우에는 폐강될 수 있음
② 안내 메일 및 문자의 원활한 발송을 위해 반드시 개인정보(소속/이메일/휴대전화번호 등) 확인·수정 바람
③ 부분 평점은 사전승인 받은 자에 한함
○ 교육대상자 등록
① 절차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수교육센터 접속(https://www.welfare.net/edu/) - "기관 아이디" 로그인 - 교육관리 - 교육대상자 관리 - "신규 등록"
② 보수교육 대상자 등록 방법 자세히 보기 : 1. 보수교육센터 대상자퇴사자등록방법.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