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회원광장
회원광장은 서울협회 회원을 위한 공간입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정확한 답변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정책제안, 회원의견 및 서울시 처우개선 계획에 대한 질의를 공유해 드리는 공간으로, 시설 운영, 보조금 집행 등에 대해서는 해당 직능단체 또는 자치구에 문의 바랍니다. 노무관련 사항은 노동상담게시판(http://sasw.or.kr/zbxe/counsel)에 업로드 바랍니다. 서울협회는 모모존(모두가 모두의 존엄을 존중하는 공간)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로를 존중하는 표현과 의견으로 작성 바랍니다.
조회 수 520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유급휴가를 위해 애써주시는 분들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정말 좋은 제도라 생각하고, 복지사들의 한층 복지후생을 높여주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무급휴가라도 감사한 일인데도 유급휴가까지 협회뿐만아니라 기관에도 감사한 일임에도 분명한데.. 

다만, 병원에도 서류를 너무 구구절절 ... 부탁하는것도 힘들고, 기관에서도 협회에 기준에 맞추려고 참 애쓰려는 모습도 안타깝고.. 

개인적으로 아픈것도 힘든데.. 서류도 일반적인 서류도 아니고... 참 피곤하네요 .

 

* 2025년에는 지침문서에도 유급병가 부분은 전제조건에 1) 수술과 입원... 2) 시설장~~  이부분을 누구가 볼때 알수 있도록 정리를 잘 부탁드립니다. 

------------------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앞서 병가 사용 Q&A를 살펴 보면 진단서 상에 입원일 혹은 수술일 그리고 안정가료기간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진단서에 입원/수술 기간이 꼭 기재가 되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진단서에 입퇴원 내용은 없습니다만,  같은 병원, 같은 의사가 작성한 진단서와 입퇴원 확인서가 있어서 함께 회사에 제출하였습니다.

     이런 경우 입퇴원확인서로 대체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 통원치료시, 진단서상에 총 예상통원치료기간이 나와야 한다는 이야기인지 궁금합니다. 

 --> 진단명과 입원 등으로 인하여 안정가료기간... 과 추후 진단과 치료기간이 추가될수 있다고 진단서에는 나와있습니다만.. 

   *  진단서에 나와있는 안정가료기간은 통상 병가기간을 이야기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통원치료를 고려해야한다면, 치료완치기간을 기준으로 총 ( ) 정도기간동안 치료기간이 필요하며, 입원후  ( )정도기간은 안정가료기간이 필요하다 

 ▶ 이렇게 구체적으로 써달라고 했어야 할까요? 
 

이정도면....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용 진단서에 샘플이 있어야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드네요. ^^ 허허허... 

  • ?
    sasw2962 2024.07.24 15:53

    안녕하세요.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입니다.

    질문 이전에 주신 의견사항은 내년도 사업계획 시 서울시에 전달토록 하겠습니다.

     

    1. 최초에 받으신 진단서(의사소견란)에 수술예정일 혹은 입원예정일이 기재되어 있어야하고 추후에 입퇴원확인서 혹은 수술확인서를 추가 서류로 증빙해주시면 됩니다.

     

    2. 진단서 상 안정가료 기간 내에서 통원치료 시 발급받은 진단서로 증빙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안내는 070-4347-5203으로 문의주시면 상세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1] 회원공유 2025년 서울시 처우개선 및 운영계획 관련 접수 질문 답변 공유 file 2331 2025.01.20
[공지 2] 회원공유 처우개선 계획 주요 답변(정년퇴직예정자에 대한 장기근속휴가 적용) file 857 2025.02.26
[공지 3] 회원공유 처우개선 계획 주요 답변 (퇴직준비휴가) file 787 2025.02.26
[공지 4] 회원공유 처우개선 계획 주요 답변 (군경력 호봉 재획정 관련) file 979 2025.02.26
[공지 5] 회원공유 처우개선 계획 주요 답변 (가족돌봄휴가) file 1344 2025.02.26
[공지 6] 회원공유 처우개선 계획 주요 답변 (대체인력 호봉승급제한 규정 삭제 관련) file 843 2025.02.26
[공지 7] 회원공유 처우개선계획 변경사항 및 주요답변(연가보상비) file 1573 2025.02.26
[공지 8] 회원공유 보건복지부 2025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및 인건비 가이드라인 file 1968 2025.01.23
[공지 9] 회원공유 2025년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및 운영계획 file 15010 2025.01.15
6304 회원공유 한국사례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안내 file 61 2024.10.18
6303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 문의드립니다. 1 124 2024.10.18
6302 질의(기타) 직원 워크샵 식대 사용 금액? 1 433 2024.10.18
6301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 질의입니다. 1 83 2024.10.18
6300 질의(유급병가) 병가 관련 질의 드립니다 1 209 2024.10.18
6299 질의(복지포인트) 복지포인트 사용 문의입니다. 1 197 2024.10.17
6298 질의(복지포인트) 현금영수증 1 95 2024.10.17
6297 질의(복지포인트) 복지포인트 문의 (가족친화비) 1 267 2024.10.17
6296 질의(복지포인트) 복지포인트 문의 (국내외 여행비용) 1 261 2024.10.17
6295 질의(유급병가) 통원치료 문의 1 107 2024.10.16
6294 질의(유급병가) 난임 병가 인정 관련 1 223 2024.10.16
6293 질의(장기근속휴가) 장기근속휴가 질문 1 153 2024.10.16
6292 정책건의 장애인거주시설 조정수당 문의 1 158 2024.10.16
6291 질의(경력인정) 실무경력 인정 여부 1 143 2024.10.16
6290 질의(대체인력) 경력인정 문의드려요 1 95 2024.10.16
6289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문의 1 92 2024.10.16
6288 질의(기타) 육아휴직 단축 근무 관련 1 176 2024.10.15
6287 질의(경력인정) 어린이집 경력 인정 2 486 2024.10.15
6286 질의(기타) 겸직 문의 1 260 2024.10.15
6285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 질의 1 112 2024.10.15
6284 질의(경력인정) 경력산정문의 1 52 2024.10.15
6283 질의(건강검진공가) 건강검진 공가 질문입니다. 1 331 2024.10.14
6282 질의(경력인정) 호봉 경력인정문의 1 204 2024.10.14
6281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 몇% 산하시설인가요? 1 file 142 2024.10.14
6280 질의(인건비기준) 안녕하세요. 가족수당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191 2024.10.11
6279 질의(경력인정) 경력관련 질의 요청 1 114 2024.10.11
6278 질의(경력인정) 다함께돌봄센터 경력증명 1 201 2024.10.11
6277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관련 질의 1 209 2024.10.11
6276 질의(경력인정) 호봉 경력인정 문의 1 file 250 2024.10.10
6275 질의(복지포인트) 복지포인트 문의드립니다 1 274 2024.10.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233 Next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