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회원광장
회원광장은 서울협회 회원을 위한 공간입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정확한 답변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정책제안, 회원의견 및 서울시 처우개선 계획에 대한 질의를 공유해 드리는 공간으로, 시설 운영, 보조금 집행 등에 대해서는 해당 직능단체 또는 자치구에 문의 바랍니다. 노무관련 사항은 노동상담게시판(http://sasw.or.kr/zbxe/counsel)에 업로드 바랍니다. 서울협회는 모모존(모두가 모두의 존엄을 존중하는 공간)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로를 존중하는 표현과 의견으로 작성 바랍니다.

안녕하세요시립은평의마을(노숙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재균 사회복지사입니다. 서울시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권익증진과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항상 힘써주시고 고생하시는 서울특별시사회복지사협회에 감사드립니다. 노숙인요양시설 4급 직급(대리, 선임생활지도원) 반영 요청 민원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저희 시설은 21년 부터 단일임금체계 100%로 변경되면서 서울시비로 인건비를 받고 있습니다기존에 보건복지부에서 나오는 인건비 가이드라인 외에 노숙인시설 가이드라인 기준은 또 더 낮게 책정되어 왔기 때문에 서울시비로 단일임금체계로 급여를 받게 된다고 하여 20년 말 당시에는 좋았습니다. 21년이 되었지만 과장 이상급은 3급으로 급수 인정을 받으면서 급여가 올랐습니다. 4급 직급(대리선임생활지도원) 관련해서 기관에서 기다려보자 서울시나 보건복지부에 건의하고 있다고 하여 기다리다가 기관에 개인적으로 민원을 넣어서 질의해도 되는지 확인 후 22 10월에 서울시에 처음 민원을 넣었습니다.

 

첫 번째 민원(20221026) 답변 : 서울시 자활지원과 주무관(조재형) 답변으로 서울시에서 인건비를 지원하는 사회복지시설의 대리 직급은 타 유형 생활시설에서도 인정하는 사례가 없으니 타 유형 시설과의 형평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노숙인 생활시설만 별도로 대리 직급을 반영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답변을 해주셨습니다또한 비교직급 기준표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 향후 비교직급 기준표 수정을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해주셨습니다.

 

두 번째 민원(20221111) 답변 : 서울시 복지정책과 주무관(조태순) 답변으로는 서울시 ‘2022년 노숙인 생활시설 운영지원 계획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의 종사자 배치기준에 따라 인건비를 지원하도록 명시되어 있으며, 보건복지부2022년 노숙인 등의 복지사업 안내에는 대리라는 직급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고 답변을 주셨습니다대리 외에 선임생활지도원은 명시가 되어있는데 이 부분은 서울시 지침이 보건복지부 지침보다 시기적으로 먼저 수립되어 해당 직급의 정원에 대해 검토하도록 요청하겠다는 답변을 주셨습니다.

 

보건복지부 민원(2023515) 답변 복지정책과에서 대리 직급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서 그 부분에 대해 세부적인 직위 분류 요청을 문의 했습니다.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 복지정책관 자립지원과 담당(김지은) 답변으로 노숙인 등의 복지사업 안내의 노숙인시설 직위분류는 전체 사회복지시설(노인, 장애인, 아동 등) 대상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의 직위분류를 따른 것으로 각 지자체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의 직위분류체계를 기준으로 자체 실정에 따라 조정 운영할 수 있다고 답변을 주셨습니다.

 

세 번째 민원(2023515) 답변 : 보건복지부 민원 답변을 받고 서울시에 다시 민원을 제출했습니다. 서울시 자활지원과 주무관(조재형) 답변으로는 대리직위는 서울시 노숙인 생활시설을 포함한 타 유형(장애인거주시설정신요양시설양로시설 등생활(거주)시설에서도 예산운영의 어려움 등이 있어 대리 직위는 인정하는 사례가 없습니다라는 답변을 주셨습니다. 2024년 생활시설의 대리 및 선임생활지도원(4) 반영 여부에 대해서는 타 시설과의 형평성 및 제반 여건, 노숙인시설 인력 운영 관련 연구 결과 등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더욱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 주셨습니다.

 

* 위 내용은 22년부터 민원을 넣었던 부분을 정리한 것입니다. 답변을 주실 당시에 타 생활(거주) 시설에서 4급 직급을 인정하는 사례가 없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서울시 내 생활(거주) 중에 4급 직급을 인정받고 운영되는 곳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 서울시 단일임금체계 파일에는 201711일부터 단일임금체계 적용 시설은 위 기준표를 준수해야 함. 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4(대리, 선임생활지도원), 3(과장)은 직급별 정원에 따른 채용, 승진으로 함. 이라고도 적혀 있습니다. 노숙인 생활시설이라고 대리, 선임생활지도원을 인정할 수 없다는 답변이 형평성에 맞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2024년이 되었지만, 당연히 저의 직급은 5급이고 서울시에서는 어떠한 내용도 들을 수도 없고 진행 사항도 알 수 없습니다. 위 서울시 답변을 보면 타 시설에서 인정받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 포인트인 것 같은데 타 시설에서 인정받는 것이 확인되었으니 노숙인 생활시설에도 4급 직급(대리, 선임생활지도원) 인정 부분 관련해서 서울특별시사회복지사협회에서 서울특별시 복지정책실에 확인 요청합니다.

 

* 위 내용은 서울특별시청 홈페이지 응답소에 같은 내용으로 민원 신청하겠습니다. 위에 민원 답변 내용을 보시면 개인적으로 아무리 이야기해도 담당 주무관은 반영해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서울특별시사회복지사협회에 도움을 요청합니다.

 

- 첨부파일로 위에 민원 캡쳐 사진을 첨부합니다.

1. 2022년 응답소 1차 질문 관련.JPG

2. 2022년 응답소 2차 질문 관련.JPG

3. 보건복지부 민원 제출 내용.JPG

4. 보건복지부 민원 제출 답변 내용.JPG

5. 2023년 민원 서울시 답변내용.png

  • ?
    thob*** 2024.05.15 22:30
    저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관리직군 사무원인데
    민원을 넣었는데 보건복지부에서는 사무원도 급수체계가 별도로
    되어있다고 서울시 지자체 문의하라고 하고
    서울시는 장애인직업재활 일단 사무원은 필수인력이 아니기에
    주단기 등 회계행정직으로 별도로 분리될 수 없다하더라구요
    체제가 참 근속년수 늘어나면서 일은 많아지고 책임은 가중되는데
    처우는 반대로 하락하는 분위기라
    여론 목소리가 중요한 때입니다.
  • ?
    admin 2024.05.20 17:21

    안녕하세요. 사무처 이지선 부장입니다. 

    지난 4월 24일 사무처에서는 노숙인요양시설 4개 단체 사무국장님들을 모시고 관련 현안을 논의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1. 해당 내용에 대한 협회 회원광장으로 접수된 사례를 정리하고

    2. 유사한 시설(아동양육시설 등)의 비교를 통해서 

    해당 내용을 해결하기 위한 건의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담당부서와 아직 약속을 잡지 못한 상태이나 조만간 해당 건으로 사무처에서 전방위적인 건의를 진행하고자 하오니 함께 의견 개진 부탁드립니다. 해당 내용이 어떻게 해결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현장의 의견이 중요합니다. 협회에서도 이번에 주신 의견도 잘 정리하여 서울시와 긴밀하게 소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sayab*** 2024.05.21 10:05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1] 회원공유 보건복지부 2025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및 인건비 가이드라인 file 225 2025.01.23
[공지 2] 회원공유 2025년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및 운영계획 file 13161 2025.01.15
[공지 3] 회원공유 2025년 서울시 처우개선 및 운영계획 관련 질문사항 접수 426 2025.01.20
5868 질의(인건비기준) 시설장 호봉 기준 문의드립니다. 1 286 2024.05.16
» 정책건의 노숙인요양시설 4급 직급(대리, 선임생활지도원) 반영 요청 관련 내용입니다. 3 file 318 2024.05.15
5866 질의(자녀돌봄휴가) 노무 육아휴직 후 복직 선생님 연차 발생 문의 1 413 2024.05.15
5865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 문의드립니다. 1 246 2024.05.14
5864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 문의 1 183 2024.05.14
5863 질의(기타) 1년미만퇴사자 퇴직적립금 반환문의 2 369 2024.05.14
5862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 문의 1 643 2024.05.14
5861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 문의 1 243 2024.05.14
5860 질의(경력인정) 사회복지시설 호봉 승급 월 3 872 2024.05.14
5859 질의(경력인정) 직원 경력 산정관련 문의입니다. 1 file 277 2024.05.13
5858 질의(경력인정) 근로지원인 실무경력 인정여부 1 247 2024.05.13
5857 질의(기타) 경조 휴가 중 회갑에 대한 문의 1 395 2024.05.10
5856 질의(인건비기준) 퇴사자 인건비 및 연차 계산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1 422 2024.05.10
5855 질의(경력인정) 경력 인정 질의드립니다. 1 278 2024.05.09
5854 질의(대체인력) 출산휴가 기간 대체인력 채용 관련 1 187 2024.05.09
5853 회원공유 (마포구) 삼성 SDS '나눔 키오스크' 국내 위기가정 아동 지원사업 안내 file 223 2024.05.09
5852 질의(경력인정) 경력 인정 관련하여 다시 재문의 드립니다. 1 491 2024.05.09
5851 질의(인건비기준) 출산전후휴가 급여 관련 문의(호봉 승호) 1 248 2024.05.09
5850 질의(복지포인트) 복지포인트 신청 및 사용처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91 2024.05.09
5849 회원공유 [서울특별시 공고] 서울특별시 시립영보자애원 민간위탁 수탁기관 모집 공고 file 583 2024.05.08
5848 질의(기타) 종사자 배치 기준 1 1149 2024.05.08
5847 질의(인건비기준) 출산전후휴가 급여 관련 문의(호봉 승호) 2 183 2024.05.08
5846 질의(경력인정) 경력 인정 문의 1 165 2024.05.08
5845 질의(경력인정) 신경 정신과 의원 근무 경력 1 197 2024.05.08
5844 질의(경력인정) 경력인정 문의드립니다. 1 195 2024.05.08
5843 질의(대체인력) 육아휴직 대체직 호봉 승급 관련 문의 1 195 2024.05.07
5842 질의(유급병가) 5/1일자 질병관리청 코로나19 권고 변경에 대한 확진자 병가 문의 1 571 2024.05.07
5841 질의(장기근속휴가) 장기근속휴가 분할 사용의 건 1 259 2024.05.07
5840 회원공유 2024 한국사례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file 533 2024.05.07
5839 질의(경력인정) 전담인력 경력인정 궁금합니다 1 309 2024.05.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223 Next
/ 223